김일수 의원, 거창대 통합 앞두고 예산 확보·제도 정비 나서

  • 등록 2025.07.23 15:53:45
크게보기

21일 도립거창대학에서 ‘통합대학 조례 논의를 위한 간담회’ 개최

 

경남일간신문 | 국립창원대학교와 경남도립거창대학·남해대학 간의 대학 통합 절차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통합대학 출범을 앞두고 행정‧재정적 지원 근거가 될 조례 제정을 위한 간담회가 21일 경남도립거창대학에서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김일수 경남도의원(국민의힘, 거창2)의 주최로 진행됐으며, 통합의 당사자인 거창대학 전임교원 18명이 참석해 우려와 건의사항을 직접 전달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5월 국립창원대와 거창대, 남해대 간의 통합을 공식 승인했으며, 통합대학은 오는 2026년 3월 1일 출범 예정이다. 교명은 국립창원대학교로 유지되며, 현 창원대 총장이 총장을 맡고, 거창대와 남해대 총장은 각각 거창‧남해캠퍼스 부총장으로 임명된다.

 

통합대학은 4개 캠퍼스(창원, 거창, 남해, 사천)를 중심으로, 총장 1인과 4명의 부총장, 5처 1국 5본부 1산학협력단 체계로 운영되며, 학사조직은 7개 단과대학, 18개 학부, 55개 학과로 구성된다. 입학정원은 총 2,447명으로 창원캠퍼스가 1,763명, 거창캠퍼스 344명, 남해캠퍼스 340명이다. 기존 학생 보호를 위해 통합 후 6년 경과 기간을 설정하고 기존 교직원 보호를 위해 통합 후 5년간 유예기간을 적용했다.

 

하지만 교수진은 통합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 교수는 “도립대는 통합 과정에서 ‘을’의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다”며, “도에서 관여해 지역캠퍼스가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교수는 “2년제와 4년제 대학의 교수 정원 기준이 다른데, 현재도 충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년퇴직이 이어진다면 학과 축소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학교 자체가 축소될 수 있다”며 “2035년쯤에는 소멸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인구소멸지역인 거창과 남해의 특성을 고려해 성인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학과 운영 필요성도 제기됐다. 교수들은 “창원대를 기준으로 학과가 정비된다면 2년제 중심의 학과는 통합 몇 년 안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김일수 도의원은 “거창대학이 앞으로도 제대로 유지되고 지역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모두의 목표”라며 “창원대와 도립대 간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도에서 창원대로 지원금을 배분할 때 거창‧남해 캠퍼스 명시를 통해 지역캠퍼스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김 의원은 “지금은 도립대 시절의 틀을 벗어나 통합대학 체계 속에서 지역 캠퍼스가 어떻게 살아남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자구책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교수들의 적극적인 의견 개진을 당부했다.

 

한편, 통합이 완료되면 도립대 교직원은 지방직에서 국가직으로 전환되며, 정원 등은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의 정기 직제 심사 및 국회 예산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한편, 경남도는 통·폐합 이행계획서 제출 및 체결과 조례 제정을 통합대학 출범 전까지인 내년 2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국립대와 도립대 간 통합 지원 조례는 ‘경국대학교’(국립안동대, 경북도립대 통합) 출범을 위해 올 2월 경북도의회가 심사·통과시킨 「경상북도 공공형대학 지원에 관한 조례」가 유일하다.

 

경남일간신문 mimimiko@naver.com
Copyright @경남일간신문. All rights reserved.

주소 : 경남 거창군 거창읍 동동3길 15 등록번호: 경남,아02375 | 등록일 : 2018.04.04 | 발행.편집인 : 최세명 | 전화번호 : (055)941-0480 Copyright @경남일간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