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7 (월)

  • 맑음창원 12.4℃
  • 맑음통영 14.2℃
  • 맑음진주 12.0℃
  • 맑음김해시 13.5℃
  • 맑음북창원 12.7℃
  • 맑음양산시 14.5℃
  • 맑음의령군 13.0℃
  • 맑음함양군 13.5℃
  • 맑음거창 11.7℃
  • 맑음합천 12.1℃
  • 맑음밀양 12.9℃
  • 맑음산청 13.0℃
  • 맑음거제 11.9℃
  • 맑음남해 10.6℃
기상청 제공

거창군

김일수 의원, 창원KBS <토론경남>서 '상향식 행정통합 주장하며 도립대 통합은 하향식' 비판

경남일간신문 |  지난 8월, 도립 거창·남해대학 통합을 전제로 창원대의 글로컬 사업이 최종 선정된 이후,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 없이 진행된 '하향식' 사업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또한, 5년 동안 진행되는 글로컬 사업이 끝난 후 창원대의 향후 계획 부재도 지적됐다.

 

김일수 의원(국민의힘, 거창2)은 28일 창원KBS 간판 토론 프로그램 <토론경남>에 출연해 "지사께서 경남과 부산의 행정통합은 '상향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지역의 생존이 달린 대학 통합은 '하향식'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이런 방식은 지역민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지역 갈라치기 우려를 낳는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박 지사가 경남부산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에서 '상향식 통합'을 주장한 것과는 달리, 대학 통합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대학 혁신을 통한 생존을 위한 방법이 반드시 '통합'이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대학의 수를 줄이거나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검토할 수 있다. '대학 특성화로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크기를 줄이는 방향이 더 적합하지 않냐"고 덧붙였다.

 

류경완 의원(더불어민주당, 남해)은 "주민들 대다수가 대학 통합에 반대한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도지사가 바뀔 때마다 통합 논의가 계속되었고, 용역과 컨설팅도 여러 번 진행됐지만 결과가 없었다"며 "만약 통합을 받아들여야 한다면, 남해대학의 명칭을 버린다 해도 학교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뜻에서 통합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한 글로컬 사업 진행 이후의 계획 부재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창원대 총장이 '정원을 유지하겠다'고 말하지만,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을 유지할 방법이 있을지 의문이다. 창원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창원대 측 인사는 끝내 참석하지 않았고, 경남도 윤인국 교육청년국장과 거창·남해 지역구 도의원들만 자리에 참석했다.

 

김 의원은 "도립대 통합은 십여 년 동안 논의되어 왔고, 지난해부터는 TF팀 구성과 연구용역이 진행됐지만, 올해 1월 갑자기 창원대와 통합으로 급선회한 뒤, 4개월 만에 예비지정, 8개월도 채 되지 않아 본지정이 이루어졌다. 연구용역도 연장되었으나, 과업이 끝나는 날인 11월 27일에도 보고서조차 나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류 의원은 "만약 통합 후 상황이 어려워지면, 도립대학이 먼저 정리되지 않겠냐는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대학은 결국 이용만 당하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안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거창 지역민들의 불만이 커져 총장 사퇴를 요구하는 상황까지 왔다"며 "반대 여론이 높은 상태에서 통합을 강행한다면, 2026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민들의 혼란과 불만이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국장은 "통합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과정에 대한 신뢰와 지속 가능성에 우려가 있다. 지역민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