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일간신문 | 치매 등 신경계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입증된 의료용 대마(大麻)에 대해 정부가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성범 의원(국민의힘·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은 24일 대전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의료용 대마가 파킨슨병, 치매, 알츠하이머 등 치료용 신약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며 관련 연구 및 제도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의원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상대로 “강릉분원에서 의료용 대마를 활용한 항암제 및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체적 추진 현황을 질의했다. 이에 오상록 KIST 원장은 “대마를 의료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현재 신약 개발 단계의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신 의원은 한국뇌연구원에 “국내 유일의 뇌과학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대형병원 신경·정신과와의 협업을 통해 치매, 알츠하이머 등 난치성 질환 연구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서판길 뇌연구원 원장은 “치매는 고령화 시대의 핵심 사회문제인 만큼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의료용 대마는 통증 완화, 신경 안정, 뇌전증 완화 등 다양한 치료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미국·일본 등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합법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신성범 의원은 “우리나라에서도 의료용 대마를 시범 재배하려 해도 대마관리법 등 규제 장벽이 여전히 높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련 부처와 협력해 규제 완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정부 관리 아래 의료용 대마 재배가 합법화된다면, 지역 농민들에게도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농촌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과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관련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